필자는 요즘 대기업 프로젝트를 진행 중 인데, 개발 중 VO부분이 너무 많아서 getter와 setter를 간편하게 사용해주는

방법을 알아냈다!!!얏호!! 생각보다 매우 간편해서 놀랬다ㅋㅋ라면끓이는 정도랄까..?ㅎ

 

1.  이클립스 저장 경로에 "lombok.jar"파일을 저장한다.

eclipse 저장 폴더.jpg

2. eclipse.ini 파일을 열어 맨 하단에 추가내용을 입력한다. 

   - 추가내용

      -vmargs
      -javaagent:lombok.jar

 

 

eclipse.ini 파일 저장.jpg

 

 

3. 간편하게 사용하면 된다:)

   - 준비 : Project에 lombok.jar 파일이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example)

     ① Vo 클래스를 선언한다.

       

Person.java 

     ② 실행방법 : 객체를 선언하고, setter와 getter를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다!

main.java

 

     ③ 실행결과

안녕하세요!

 

저는 Si프로젝트에서 Backend-Dev로 있는 직장인입니다! 

최신기술에 많이 늦은 감이 있지만, 요즘 Web 프로젝트를 만들어보면서 개념을 익히고, 습득하는 중인데요!

 

예전에 공부했었어야 했는데, Mobile(Android)만 한창 공부하다보니.. 허허

 

아무튼 오늘은 간략하게 공부한 것들을 홍군의 블로그에 올려봤습니다!


1. @Controller와 @RestController의 차이

 

Controller에서 사용되는 어노테이션내용(RestController, Controller)

 - 기존의 MVC @Controller는 View 기술을 사용하지만, @RestController는 객체를 반환할때 객체 데이터는

    바로 JSON/XML 타입의 HTTP 응답을 직접 리턴하게 된다. 

 

  1.1 @Controller를 사용하여 View와 연결하는 방식.

     - 참조블로그를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ㅜㅜ

 

  1.2 @RestController를 사용하여 바로 JSON 타입의 HTTP 응답을 리턴하는 방식 

 

       Controller(MailController)

  

RestController에서 사용되고있는 SourceCode

         - 저는 현재 DataBase와 연결하는 방식을 JPA로 하고 있어서 Mapping부분은 신경쓰지 말아주세요~ㅎㅎ

           (확인하려고 테스트했던 부분이라..ㅠㅜ)

 

       브라우저 화면.

RestController를 사용하여 보여지는 Json형식

1.3 @Controller와 @RestController 실행의 흐름

   1.3.1 @Controller 

       - Client -> Request -> Dispatcher Servlet -> Handler Mapping -> Controller -> View -> Dispatcher Servlet ->

          Response -> Client 

    1.3.2 @RestController

        - Client -> HTTP Request -> Dispatcher Servlet -> Handler Mapping -> 

             RestController(자동 ResponseBody 추가)-> HTTP Response -> Client

 

 

2. 참조 블로그 

  -  http://doublesprogramming.tistory.com/105

 

 

 

+ Recent posts